본문 바로가기

협회소개

디카시는 21세기의 새로운 문예장르를 내다보는 강력한 시의성을 가진 문학의 양식입니다.

회장 인사 말씀

회장 인사 말씀

새로운 문예 장르 디카시,

한국을 넘어 세계로

경남 고성의 한국디카시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전개해온 ‘디카시 운동’을 전국 그리고 온 세계에 걸쳐 광범위하고 활력 있게 전개하기 위하여, 지난 2019년 11월 한국디카시인협회와 부설 국경없는디카시인회가 공식 발족했습니다.

그동안 황순원문학제 공모전, 이병주국제문학제 공모전 등에서 각기 수백여 편의 응모작이 운집하는 등 성황을 보였으며, 2020년 10월에는 한국디카시인협회 제1회 디카시 학술심포지엄이 개최되기도 했습니다. 이 심포지엄은 디카시가 영상문화 시대에 한국문학사 및 인류문화사에 남을 새로운 문예 장르의 확산으로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디카시를 하나의 문학적 자산이자 문화브랜드로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디카시는 언제 어디서나 남녀노소 모두가 동참할 수 있는 창작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일상의 예술’이자 ‘예술의 일상’을 진작하는 유용한 문예운동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습니다. 한국디카시인협회는 한국의 주요 시인 및 이론가, 디카시인, 디카시 동호인 등이 참여하여 구성되었으며, 세계디카시인협회를 뜻하는 ‘국경없는디카시인회’는 현재 디카시 운동이 활발히 진행 중인 미국, 중국, 인도네시아 등 각국의 디카시인들이 참여했습니다.

디카시가 우리 문학인들 가운데 공유되고 확산하기 시작한 지도, 창안자 이상옥 시인이 첫 디카시집 『고성가도』를 상재한 2004년 이후 벌써 16년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문학인들 가운데 디카시의 창작 형식이 디지털카메라와 짧은 시문(詩文)의 결합을 통해, 그 순간 포착의 영상과 촌철살인의 언표(言表)로 동시대의 첨예한 감각을 표현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이가 없습니다. 디카시는 이처럼 순간 포착, 순간 언술, 순간 소통의 극 순간 예술입니다

디카시는 시대적 조류인 디지털 영상과 조화롭게 연대하고 그에 친숙한 사람들의 표현 욕구를 가장 적절한 방식으로 수용합니다. 디카시는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일상성’을 가졌고, 복잡다단한 세상을 상징적으로 요약하는 ‘압축성’을 가졌으며, 전자 매체 영상문화의 시대를 반영하는 ‘영상성’을 가졌습니다. 이는 기존 문학과 확연히 구별되는 면모이며, 이 새롭고 자유로운 시운동이 우리 시대 시인과 독자들의 내면을 바닥까지 가장 잘 들여다볼 수 있는 형식임을 증거합니다

그러기에 디카시는 21세기의 새로운 문예 장르를 내다보는 강력한 시의성을 가진 문학의 양식입니다. 이 홈페이지에 들어오신 여러분을 이 디카시 세계로 정중하고 따뜻하게 초대합니다. 이렇게 즐겁고 유익하고 보람 있는 길, 함께 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국디카시인협회 회장 김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