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협회소개

디카시는 21세기의 새로운 문예장르를 내다보는 강력한 시의성을 가진 문학의 양식입니다.

협회정관

협회정관

제 1장 총칙

제1조(명 칭)

본 회는 ‘한국디카시인협회’라 칭한다.

제2조(사무소)

본 회의 사무소는 ‘한국디카시연구소’ 내에 두고 필요에 따라 다른 지역과 해외에 지부를 둘 수 있다.

제3조(목 적)

본 회는 디카시의 창작, 논의, 발전, 확산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동시에 범국민적 문학 운동으로 전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4조(사 업)

본 회는 제3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업을 행한다.

  1. 디카시 창작, 논의 및 연구 모임
  2. 디카시 창작, 연구 도서 발간 사업
  3. 한국디카시연구소 운영 및 지원 사업
  4. 디카시 관련 문학상 제정 및 운영
  5. 디카시 문학제, 페스티벌 등 개최
  6. 디카시 문학 운동을 통한 국내외 문화운동 추진
  7. 회원 상호간의 유대와 친목 도모
  8. 기타 본 회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업

제 2장 회원

제5조(회원 자격)

회원은 본 회의 목적과 취지에 찬동하며, 입회원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고 소정의 회비를 납부하는 인사로 한다.

제6조(회원의 위촉)

회원은 제5조에 해당하는 인사로서 집행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제7조(회원의 권리 의무)

회원은 본 회의 모든 활동에 있어서 평등한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

제8조(회원의 탈퇴)

회원은 탈퇴하고자 할 때에는 회장에게 탈퇴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제9조(회원의 징계)

본 회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본 회의 목적에 위반되는 행위를 한 회원은 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회장이 견책 또는 제명할 수 있다.

제 3장 임원

제10조(임원의 종별 및 수)

본 회는 다음의 임원을 둔다.

  1. 회장 1인
  2. 부회장 약간 명
  3. 운영위원 10인 이내
  4. 감사 2인
  5. 집행위원장 1인
제11조(임원의 선임)
  1. 회장 및 부회장은 운영위원회에서 선출한다.
  2. 운영위원 및 감사는 회원의 총의를 수렴하여 선임하되, 회장 및 부회장과 집행위원장은 당연직 운영위원으로 선임한다.
  3. 본 회 설립 당초의 임원은 모두 발기인회의에서 선임한다.
제12조(임원의 직무권한)
  1. 회장은 본 회를 대표하고 회무를 통할하며 운영위원회의 의장이 된다.
  2. 부회장은 회장을 보좌하며 회장 유고시 운영위원회에서 지명 받은 부회장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3. 운영위원은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본 회 운영에 관한 사항의 심의와 집행을 결정한다.
  4. 감사는 민법 제67조의 집무를 행하고, 운영위원회에 참석하여 필요한 발언을 할수 있다.
  5. 집행위원장은 본 회의 실무를 처리한다.
제13조(임원의 임기)
  1. 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2. 임원이 임기 중 궐위된 경우 그 보충방법을 운영위원회에서 정하되, 보궐을 위하여 취임한 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

제 4장 고문 및 자문위원 위촉

  1. 본 회는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하여 각계 지도급 인사들을 고문 및 자문위원으로 위촉할 수 있다.
  2. 고문 및 자문위원은 운영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회장이 위촉한다.

제 5장 운영위원회

제15조(운영위원회의 구성)

운영위원은 당연직 운영위원과 선임 운영위원으로 구성한다.

제16조(운영위원회의 소집)

운영위원회는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또는 운영위원 3분의 1이상의 요청이 있을 때 회장이 소집한다.

제17조(운영위원회의 결의사항)
  1. 업무의 집행
  2. 정관 등 제 규정의 제정 및 변경에 관한 사항
  3. 사업계획 및 예산의 편성과 결산에 관한 사항
  4. 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5. 임원의 선임에 관한 사항
  6. 집행위원장 임명 동의
  7. 정관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
  8. 기타 본 회 운영상의 중요사항과 회장이 부의하는 사항

제 6장 집행위원회

제20조(집행위원회)
본 회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집행위원회를 둔다.
제21조(집행위원장)
집행위원장은 회장이 운영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한다. 집행위원장은 회장의 명을 받아 집행위원회의 사무를 통할한다.
제22조(집행위원회의 구성)
집행위원회의 직제와 직원의 정수 및 기타 필요한 사항은 별도로 정한다.

제 7장 재정

제23조(회계연도)

본 회의 회계연도는 정부의 회계연도에 준한다.

제24조(수입)

본 회의 수입은 회비, 성금, 기타 수입금으로 충당한다.

제25조(사업계획과 예산)
  1. 본 회는 매년도의 사업계획과 예산서를 회계연도 개시 1월 전까지 작성하여 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시행한다.
  2. 사업계획 및 예산의 변경을 요할 시는 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제26조(결산)

본 회는 매 회계연도 개시 후 1월 이내에 전년도 결산서에 감사의 의견서를 첨부하여 운영위원회에 부의한다.

제27조(결산 잉여금)

결산 잉여금은 익년도 수입으로 이월한다.

제28조(회계 감사)

감사는 본 회의 회계에 관한 사항을 연 1회 감사하여야 한다.

제 8장 보칙

제29조(정관의 개정)

본 회의 정관을 개정하고자 할 때에는 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되,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30조(해산 이유)

본 회는 설립목적의 소멸 등의 사유에 의해 해산하되, 운영위원회에서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31조(시행 세칙)

본 정관의 시행에서 필요한 세칙은 운영위원회의 결의에 의하여 정한다.

부칙

제1조(시행)

본 정관은 발기인회의에서 승인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경과조치)

본 정관 이전에 선의의 사무추진을 위해 시행된 사항은 정관 이후와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